-
[Python] f 문자열 포매팅 (f-string formatting)Today's/DevelopStory 2021. 6. 16. 02:04
문자열 포매팅이란,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이나 변수 따위를 삽입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f 문자열 포매팅 (이하 f-sting) 은 파이썬 3.6 버전 이후에 등장한 기능이다. f-string 의 사용 방법을 간단하게 표현한다면 f 와 {중괄호}다. 기본적으로 따옴표를 사용하여 나타낸 문자열 앞에 f 접두사를 붙이는 것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해당 문자열 안에 값이나 변수를 삽입하려는 부분을 {중괄호} 로 감싸주는 방식이다. 예시: def roket_runch_count_down(number): if number < 0: return print("로켓 발사!!") print(f"로켓 발사 {number}초 전...") roket_runch_count_down(number - 1) roket_runc..
-
[Python] 내장 함수 : mapToday's/DevelopStory 2021. 6. 15. 01:19
입력 형태 : map(함수, 자료형) 반복되는 자료형의 각 요소를 함수가 수행한 결과로 묶어서 돌려주는 파이썬 내장 함수 중 하나이다. 예시 : # two_times.py def two_times(numberList): result = [ ] for number in numberList: result.append(number * 2) return result result = two_times([ 1, 2, 3, 4 ]) print(result) two_times 함수는 리스트 요소를 입력받아 각 요소에 2를 곱한 결괏값을 돌려준다. 실행 결과 : [ 2, 4, 6, 8 ] 위 예시를 map 함수의 경우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ef two_times( x ): return x*2 list(map(two..
-
[항해99] 1주차Week's/Review 2021. 6. 13. 20:17
정신 없이 흘러간 1주일인 것 같다. 사전 스터디 그룹에도 들어갔었지만 사실 항해99 준비에 충실하지는 못했었다. 핑계를 대자면 본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정리할 개인적인 일들이 너무 많아서 바쁘기도 했고, 그러다보니 집중력도 떨어져서 쉽사리 강의를 듣지 못했다... 결국 사전 스터디 조원들끼리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제대로 참여를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웹개발 종합반 강의만 1주차에서 5주차까지 겨우 한 번 듣는 정도로 족해야 했다. 그러다보니 개인적으론 본 과정을 시작도 하기전에 덜컥 겁이났었다. '이 상태에서 99일 과정 후에 취업을 한다고?' 뭐 이런 마음으로 두려움을 안고 첫주를 시작하게 되었다. 첫 주차의 미니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가장 큰 수확은 항해99 과정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해내고야..
-
함수Today's/Concept & Theory 2021. 6. 13. 19:05
1. 개요 입력값을 가지고 연산을 수행한 후, 결과물을 출력 하는 것. ※ 프로그래밍에서 함수가 중요한 이유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작성하는 행위를 줄여 줌. (해당 부분을 함수화 하여 작성함으로써 새로운 입력값을 받을 때마다 그 결괏값을 출력하게 만듦.) 프로그램 흐름을 이해하기 편리함. (입력값이 결괏값으로 출력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함으로 오류를 수정하기 용이함.) 2. Python에서의 함수 1) 파이썬 함수의 구조 def 함수명(매개변수) : def : 함수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예약어, 함수명은 임의로 만들 수 있다. (ex: aaa, bbb, name 등) (매개변수) : 함수에 입력될 값을 받은 변수, 변수명 또한 함수명처럼 임의로 만들 수 있다. 2) 파이썬 함수의 예시 : 두 변수(a, b..
-
[Python] whileToday's/DevelopStory 2021. 6. 13. 18:33
while문 : ~가 True인 동안 아래의 코드를 수행함. 1. 기본 구조 while : 2. 사용 예시 속담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파이썬 문법으로 나타내기 treeHit = 0 while treeHit < 10: treeHit = treeHit + 1 print( "나무를 %d번 찍었습니다." % treeHit ) if treeHit == 10: print( "나무 넘어갑니다." ) --- CONSOLE --- 나무를 1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2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3번 찍었습니다. … 나무를 10번 찍었습니다. 나무 넘어갑니다.